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2·28 의거

1960년 2월 28일에 대구 시내 남녀 고등학생들이 벌린 시위는 역사적인 의의가 큰 사건이었다. 그것은 이제까지와 같이 동원되는 강제시위가 아니라 학생들이 스스로 자발적으로 독재에 맞서 벌인 최초의 반정부 시위였다.

경찰에 끌려가고 있는 경북고등학교 학생

1960년 2월 28일은 일요일이었다. 그런데 대구 시내의 고등학생들은 일요일임에도 불구하고 등교해야 했다. 이승만 정권은 민주당 집회에 민중과 학생들이 참가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제일모직, 대한방직 등 공장 노동자들을 전원 출근시켜 작업케 하였고 학생들을 억지로 등교시켜 이들이 집회장소로 향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으려 한 것이다.

자유당의 요구에 따라 대구 시내 각급 학교에 각기 급조된 명목에 따라 등교 지시가 내려갔다. 그런데 다른 학교들은 대부분 27일에 일요등교 지시가 내려졌지만 경북고만 25일에 지시가 내려져 ‘3일’간의 작은 ‘소요’가 조성되었다. 학생들은 일요 등교가 무엇을 위한 것인지 금방 눈치챘다. 2월 27일 밤 경북고, 대구고, 경북대사대부고의 학생호국단 간부 학생들 10명이 회합을 갖고주1) 일요등교에 항의하는 데모를 하기로 결의하였다.

2월 28일 낮 12시 50분. 경북고 학생위원회 부위원장 이대우가 운동장 조회단에서 결의문을 읽은 뒤, 등교 조치에 항거한 경북고생 800여 명이 교사의 제지를 박차고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횃불을 밝혀라, 동방의 별들아”, "학원의 자유를 달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부정선거 규탄데모를 벌였다. 뒤이어 대구고․경북여고․경북대사대부고 등 대구 시내 1,200명의 고등학생들이 불법 선거에 항거하는 봉화를 들었다. 이들은 경찰과 충돌해 가며 경북도청에 이르렀고 여기에서 선언문을 낭독했다. 바로 이 순간 정․사복 경찰이 출동했고 120여 명이 연행되었다. 경찰은 민심이 자극될 것을 우려하여 이날 밤으로 학생들을 모두 석방조치했다.

주1)
경북고의 이대우(부위원장), 전화섭, 권준화, 정명소, 하청일, 윤종명, 대구고의 진홍(晋洪), 윤풍홍, 장주호, 경북대사대부고의 최용호 등이 회합,
동아일보 이강현 편, 「민주혁명의 발자취 : 전국 각급학교 학생대표의 수기」 (정음사, 1960),
닫기

경북고등학교 결의문

인류 역사에 이런 강압적이고 횡포한 처사가 있었던가. 근세 우리나라 역사상 이런 야만적이고 폭압적인 일이 그 어디 그 어느 역사책 속에 끼어 있었던가?

오늘은 바야흐로 주위에 공장연기를 날리지 않고 6일 동안 갖가지 삶에 허덕이다 모이고 모인 피로를 풀 날이요, 내일의 삶을 위해, 투쟁을 위해, 그 정리를 하는 신성한 휴일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 하루의 휴일마저 빼앗길 운명에 처해있다. 우리는 1주일 동안 하루의 휴일을 쉴 권리가 있다. 이것은 억지의 말도 아니고 꾸민 말도 아니고 인간의 근세 몇 천년 동안 쭉 계속해서 내려온 관습이요, 인간이 생존해 나가기 위한 현명한 조치이다. 그러나 우리는 살기 위해 만든 휴일을 빼앗기고 피로에 쓰러져 죽어야만 하나, 생각해 볼 일이다.

우리는 배움에 불타는 신성한 각오와 장차 동아(東亞)를 짊어지고 나갈 꿋꿋한 역군이요, 사회악에 물들지 않은 백합같이 순결한 청춘이요, 학도이다.

우리 백만 학도는 지금 이 시각에도 타골의 시(詩)를 잊지 않고 있다. ‘그 촛불 다시한번 켜지는 날 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

큰 꿈을 안고 자라나는 우리가 현 성인사회의 정치놀음에 일절 관계할 리도 만무하고 학문습득에 시달려 그런 시간적인 여유도 없다.

그러나 이번 일은 정치에 관계없이 주위에 자극받지 않은 책냄새, 땀냄새, 촛불 꺼멓게 앉은 순결한 이성으로서 우리는 지금까지 배운 지식을 밑바탕으로 하여 일장의 궐기를 하려 한다.

백만 학도여, 피가 있거든 우리의 신성한 권리를 위하여 서슴지 말고 일어서라. 학도들의 붉은 피는 지금 이 순간에도 뛰놀고 있으며, 정의에 배반되는 불의를 쳐부수기 위해서는 이 목숨이 다 할 때까지 투쟁하는 것이 우리들의 기백이며, 이러한 행위는 정의감에 입각한 이성의 호소인 것이다.

우리는 민족을 사랑하고 민족을 위하여 누구보다도 눈물을 많이 흘릴 학도요, 조국을 괴뢰가 짓밟으려 하면 조국의 수호신으로 가버릴 학도이다.

이 민족애의 조국애의 피가 끓는 학도의 외침을 들어 주려는가?

우리는 끝까지 이번 처사에 대한 명확한 대답이 있을 때까지 싸우련다.

이 민족의 울분, 순결한 학도의 울분을 어디에 호소해야 하나?

우리는 일치단결하여 피 끓는 학도로서 최후의 일각까지 최후의 1인까지 부여된 권리를 수호하기 위해 싸우련다.

1960년 2월 28일에 대구 시내 남녀 고등학생들이 벌린 시위는 역사적인 의의가 큰 사건이었다. 그것은 이제까지와 같이 동원되는 강제시위가 아니라 학생들이 스스로 자발적으로 독재에 맞서 벌인 최초의 반정부 시위였다. 이후 한국의 학생들은 30여 년 동안 불의와 부정, 독재에 맞서 시위 등을 통해 발언을 하기 시작했다. 항의의 직접적 계기는 일요등교에 있었지만 그 밑바닥에는 오랫동안 누적된 학원의 비민주성 특히 자유당 정권에 대한 불신과 불만이 잠자고 있었다. 대학생 형들이 죽었다는 고등학생들의 불신이 극도로 높아져 있었고 기성인들의 무기력함에 불만이 쌓여 있었고 우리가 해야만 국가가 부흥할 수 있다는 예언적 생각들이 있었다. 당시 그들은 정부수립 이후 민주교육에 기초한 의무교육을 받은 최초의 연령층으로서 공명선거를 통해 학생대표를 선출해 보는 경험도 가졌으며 민주주의의 생활화에도 강한 의욕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기성세대에서 벌어지고 있는 각종 불법적인 부정선거행위와 학원탄압 그리고 악취 나는 부조리와 모순 등은 이들의 정의감에 불을 당겨 행동으로 나서게 하는 데 필요충분조건을 제공했다. 2․28 대구 고교생들의 외침은 전국적으로 메아리쳐 가기 시작했고 결과적으로 4․19의 중요한 도화선이 되었다.

>
팝업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