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기념시설 현황

총 22건의 4월혁명 기념시설 자료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부산 4․19광장 표지석 프린트 목록

주요 대상
부산에서의 4․19혁명
위치(주소)
부산광역시 중구 민주공원길19(영주동 산10-16),<br/>4월혁명희생자위령탑 입구
위도
35도 06분 40.79초
경도
129도 01분 41.30초
선정 이유
공원
토지 소유주
부산광역시
주위 환경
4월민주혁명희생자위령탑과 영령봉안소
유관 시설
-
건립일
2011년 09월 16일
형태(외형)
표지석
재질
석재
규모(크기)
표지석 150*60*210㎝, 기단 230*130*45㎝
건립 주체
-
관리(운영) 주체
-
전면

4․18 Memorail Hall

시대적 배경

◦정권 연장을 위해 부정선거를 획책하고, 초법률적 통치권을 행사한
이승만 정권

사건적 배경

◦2월 28일 대구에서 학생들의 반 이승만․자유당 시위 발생
◦3월 8, 10일 대전, 수원에서 학생들의 반 이승만․자유당 시위 발생
◦3월 14일 서울에서 학생 시위
◦3월 15일 정부통령 선거일에 마산에서 학생 및 시민들과 민주당이 주 도한 시위 발생
◦3월 23일 내무부장관 최인기의 사표 수리
◦3월 24일 부산에서 학생과 시민들이 시위 전개
◦4월 6일 서울과 부산 등에서 학생 시위
◦4월 11일 마산시 중앙부두에서 김주열 사체가 발견되면서 제2차 마산 의거 발발
◦4월 18일 고려대 학생들이 주도한 도심 시위 발생
◦4월 19일 서울대를 비롯해 서울지역 대학, 고등학교, 중학교 학생들과 시민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시위 발생
◦4월 23일 장면박사 부통령직 사임
◦4월 24일 이기붕이 부통령 당선 및 모든 공직 사퇴를 발표
◦4월 25일 교수단 시위
◦4월 26일 이승만 하야

※ 4월 22일 경상남도가 발표한 사망자수와 부상자수
- 사망자 23명, 부상자는 입원이 51명, 통원환자가 119명(여기에는 경찰 67명, 소방대원 6명, 일반 46명 포함)
- 이 당시 부산시에서 사망한 사람은 13명, 부상자는 170여 명이었음

현재 평가

◦한국에서 전개된 대표적인 민주화운동으로 위상 정립
◦1963년 9월 서울특별시 수유동에 4․19묘지가 조성되었고, 1995년 4월 에 「국립4․19민주묘지」를 재조성함

조사자 의견

◦개별시설이라고 하기보다는 기존 시설에 속해 있다고 보여 부록으로 처리함

사진자료
>
팝업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