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기념시설 현황

총 22건의 4월혁명 기념시설 자료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대구 2․28길 프린트 목록

주요 대상
2·28민주운동정신 계승(2·28민주운동기념관 건립중)
위치(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2·28길, 명덕초등학교, 2․28민주운동기념관 주변
위도
35도 51분 30.43초
경도
128도 35분 26.22초
선정 이유
2․28민주운동기념관 주변
토지 소유주
-
주위 환경
-
유관 시설
-
건립일
2010년 4월 2일 고시
형태(외형)
도로
재질
-
규모(크기)
기점: 남산동 2109-1 ~ 종점: 남산동 216-46의 105개 건물
건립 주체
-
관리(운영) 주체
-
전면

4․18 Memorail Hall

시대적 배경

◦이승만 정부와 자유당
- 1960년 3월 15일 실시된 선거를 부정으로 일관하여 국민의 공분을 사 고, 저항을 불러일으킴
- 학원의 병영화와 극우반공주의 교육풍토를 조성

사건적 배경

◦자유당 경북도당은 1960년 2월 28일 대구광역시 수성천에서 열릴 계획이었던 민주당 부통령 후보 장면의 선거유세에 학생들이 참석하지 못하게 하는 방침을 수립함. 이를 위해 2월 10일 대구 시내 각 기관장과 각급 학교장을 소집하여 지시함
- 지시 내용은 2월 27일 자유당의 유세날에는 가구당 1명씩 유세장에 동원하고, 2월 28일 민주당의 유세날에는 동회나 직당 단위로 각종 행사를 개최하는 한편 정치에 민감한 경향을 보이는 학생들을 등교시켜 유세장에 갈 수 없도록 하라는 것이었음
- 이 지시에 따라, 경북고는 학기말 시험에, 대구고는 토끼사냥, 경북사대부고는 임시 수업, 대구상고는 졸업생 송별회, 대구여고는 무용발표회 등을 명목으로 등교를 지시함
◦1960년 2월 28일 경북고, 대구고, 경북사대부고, 경북여고 학생들은 각각 자유당과 학교 당국의 학원 정치화와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시위를 벌임
◦자유당은 장면타도, 이기붕 당선을 위해 관권, 금권, 폭력, 매수 등 온갖 방법을 동원하여 부정투표, 환표 부정, 부정개표, 투표함 바꿔치기 등을 실시하여 승리했으나, 결국은 정권의 몰락으로 귀결되었음

현재 평가

◦한국전쟁 이후 대구에서 최초로 일어난 학생민주운동
◦3ㆍ15의거와 4ㆍ19혁명을 견인한 사건으로 평가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기념행사 개최
◦2009년 12월 29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의 개정과 더불어 제2조
정의에 포함됨

사진자료
>
팝업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