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기념시설 현황

총 22건의 4월혁명 기념시설 자료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대구고 2․28기념탑 프린트 목록

주요 대상
대구고 2․28대구민주화운동
위치(주소)
대구광역시 남구 중앙대로 171, 달구전 앞, 야구장옆
위도
35도 50분 56.21초
경도
127도 35분 20.87초
선정 이유
모교
토지 소유주
-
주위 환경
-
유관 시설
◦대고탑 ◦2․28기념탑
건립일
2010년 05월 30일
형태(외형)
재질
석재
규모(크기)
기둥 지름 40㎝, 높이 최대 305㎝, 중앙 지름 59㎝, 높이 25㎝ 좌대665*600*70㎝(최대), 표지석 98*65*(15-35)㎝, 오석 90*54㎝
건립 주체
-
관리(운영) 주체
-
전면

<우측>
검은 바닥에서 분연히 솟아오른
다섯 기둥은 암흑시대를 뚫고 저항한
五葉 무궁화 校標의大邱高
선배님들의民主化運動을상징합니다
2010.5.30.

<좌측>
달구인의 영원한 정신적 성지
역사는 지난 시대의 기록이요, 현재의 지침이요, 미래를 향한 예지이다. 여기 달구언덕 2.28 대구고교 학생 의거의 주역이었던 대구고 1~2회 재학생들이 이승만 정권의 독재와 불의에 항거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학생민주화 의거의 불씨를 지핀 곳. 그날의 우렁찬 함성을 여기 2.28기념 상징물에 새겨, 학생 민주화의 푸른 역사로 영원히 기리고자 한다. 1960년2월 28일 오전, 자유당 정권의 독재에 저항하여 달구 언덕에서부터 발화하여 들불처럼 번져간 대구 고교 학생 민주화 의거는 3.15부정선거를 규탄하는 마산의거와 4.19민주화 의거를 촉발하는 결정적인 도화선이 되어 우리나라 민주화 발전의 찬연한 씨앗이 되었다. 이 터는 2.28학생의거를 선도한 대고인의 자랑스러운 성역이요, 이 상징물은 우리나라의 민주주의를 수호하는 징표이다. 이 땅을 밟고 지나가는 모든 재학생과 대구고 동문들이여? 앞선 2.28 주역들의 저 서늘한 정신을 보며 옷길을 여미고, 정의를 향한 그 뜨거운 열망을 항상 가슴에 새기라!
2010. 5. 30

4․18 Memorail Hall

시대적 배경

◦이승만 정부와 자유당
- 1960년 3월 15일 실시된 선거를 부정으로 일관하여 국민의 공분을 사고, 저항을 불러일으킴
- 학원의 병영화와 극우반공주의 교육풍토를 조성

사건적 배경

◦자유당 경북도당은 1960년 2월 28일 대구광역시 수성천에서 열릴 계획이었던 민주당 부통령 후보 장면의 선거유세에 학생들이 참석하지 못하게 하는 방침을 수립함. 이를 위해 2월 10일 대구 시내 각 기관장과 각급 학교장을 소집하여 지시함
- 지시 내용은 2월 27일 자유당의 유세날에는 가구당 1명씩 유세장에 동원하고, 2월 28일 민주당의 유세날에는 동회나 직당 단위로 각종 행사를 개최하는 한편 정치에 민감한 경향을 보이는 학생들을 등교시켜 유세장에 갈 수 없도록 하라는 것이었음
- 이 지시에 따라, 경북고는 학기말 시험에, 대구고는 토끼사냥, 경북사대부고는 임시 수업, 대구상고는 졸업생 송별회, 대구여고는 무용발표회 등을 명목으로 등교를 지시함
◦1960년 2월 28일 경북고, 대구고, 경북사대부고, 경북여고 학생들은 각각 자유당과 학교 당국의 학원 정치화와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시위를 벌임
◦자유당은 장면타도, 이기붕 당선을 위해 관권, 금권, 폭력, 매수 등 온갖 방법을 동원하여 부정투표, 환표 부정, 부정개표, 투표함 바꿔치기 등을 실시하여 승리했으나, 결국은 정권의 몰락으로 귀결되었음

현재 평가

◦한국전쟁 이후 대구에서 최초로 일어난 학생민주운동
◦3ㆍ15의거와 4ㆍ19혁명을 견인한 사건으로 평가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기념행사 개최
◦2009년 12월 29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의 개정과 더불어 제2조 정 의에 포함됨

사진자료
>
팝업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