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기념시설 현황

총 22건의 4월혁명 기념시설 자료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대전고 현정탑(顯正塔) 프린트 목록

주요 대상
손중근․고병래․이기태(대전고 출신 4․19혁명 희생자)
위치(주소)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동 320-2, 대전고등학교 승리관 앞 현정원
위도
36도 19분 19.16초
경도
127도 25분 26.25초
선정 이유
모교
토지 소유주
대전고등학교
주위 환경
-
유관 시설
◦대전3․8민주의거기념탑 ◦국립4․19민주묘지
건립일
1962년 05월 25일
형태(외형)
추모비
재질
석재
규모(크기)
비석 54*27*138㎝, 좌대상 90*60*70㎝, 좌대하 122*90*30㎝ 기단335*335*180㎝(삼각형), 향석 53*38*35㎝, 전체높이388㎝
건립 주체
-
관리(운영) 주체
-
전면

大高의얼
내일을 향해 힘차게 일어선
우리는 永遠한횃불
여기 大稜의 치솟는 喊聲은
슬기로 뭉쳐 義를세운證言
빛나는눈이어라勇氣이어라
大高는無限한祖國의보람

4․18 Memorail Hall

시대적 배경

◦정권 연장을 위해 부정선거를 획책하고, 초법률적 통치권을 행사한
이승만 정권

사건적 배경

◦2월 28일 대구에서 학생들의 반 이승만․자유당 시위 발생
◦3월 8, 10일 대전, 수원에서 학생들의 반 이승만․자유당 시위 발생
◦3월 14일 서울에서 학생 시위
◦3월 15일 정부통령 선거일에 마산에서 학생 및 시민들과 민주당이 주 도한 시위 발생
◦3월 23일 내무부장관 최인기의 사표 수리
◦3월 24일 부산에서 학생과 시민들이 시위 전개
◦4월 6일 서울과 부산 등에서 학생 시위
◦4월 11일 마산시 중앙부두에서 김주열 사체가 발견되면서 제2차 마산 의거 발발
◦4월 18일 고려대 학생들이 주도한 도심 시위 발생
◦4월 19일 서울대를 비롯해 서울지역 대학, 고등학교, 중학교 학생들과 시민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시위 발생
◦4월 23일 장면박사 부통령직 사임
◦4월 24일 이기붕이 부통령 당선 및 모든 공직 사퇴를 발표
◦4월 25일 교수단 시위
◦4월 26일 이승만 하야

<3‧8민주의거 관련 사항>
◦위의 비문 참조
◦3․8민주의거는 1960년 3월 8일 대전고 1, 2학년 학생 1천여 명이 대전 시내에서 ‘학생을정치도구화하지말라’, ‘학원에서의 선거운동을 배격한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벌인 시위를 지칭함

현재 평가

◦한국에서 전개된 대표적인 민주화운동으로 위상 정립
◦1963년 9월 서울특별시 수유동에 4․19묘지가 조성되었고, 1995년 4월 에 「국립4․19민주묘지」를 재조성함

조사자 의견

◦2011년 폭우 이후 현정탑 주변의 시설을 새롭게 정비하고 있음

사진자료
>
팝업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