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기념시설 현황

총 22건의 4월혁명 기념시설 자료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고려대 4․18기념관 프린트 목록

주요 대상
1960년 4월 18일 고려대학교 학생들이 주도한 이승만 정권 반대 시위 기념
위치(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안암동 5가 1번지) 고려대학교 학생회관 오른쪽 뒤
위도
37도 35분 13.47초
경도
127도 01분 57.97초
선정 이유
모교, 자체소유
토지 소유주
고려대학교
주위 환경
학생회관 앞 민주광장 북쪽에 강제징집희생자진혼비가 있음
유관 시설
◦고려대 4.18기념비 ◦고려대 백주년기념관(박물관)
건립일
1998년 1월
형태(외형)
지하 2층, 지상 2층의 현대식 건물
재질
철근콘크리트
규모(크기)
건평 1,154평, 강당, 소극장, 세미나실, 전시실 등 자치활동 공간과 웨이트 트레이닝장, 탁구장 등 체력증진을 위한 부대시설, 그리고 학생지원부, 취업정보 자료실, 서점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음
건립 주체
고려대학교
관리(운영) 주체
고려대학교
전면

4․18 기념관
4․18 Memorail Hall

4․18 Memorail Hall

시대적 배경

◦정권 연장을 위해 부정선거를 획책하고, 초법률적 통치권을 행사한
이승만 정권

사건적 배경

◦2월 28일 대구에서 학생들의 반 이승만․자유당 시위 발생
◦3월 8, 10일 대전, 수원에서 학생들의 반 이승만․자유당 시위 발생
◦3월 14일 서울에서 학생 시위
◦3월 15일 정부통령 선거일에 마산에서 학생 및 시민들과 민주당이 주 도한 시위 발생
◦3월 23일 내무부장관 최인기의 사표 수리
◦3월 24일 부산에서 학생과 시민들이 시위 전개
◦4월 6일 서울과 부산 등에서 학생 시위
◦4월 11일 마산시 중앙부두에서 김주열 사체가 발견되면서 제2차 마산 의거 발발
◦4월 18일 고려대 학생들이 주도한 도심 시위 발생
◦4월 19일 서울대를 비롯해 서울지역 대학, 고등학교, 중학교 학생들과 시민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시위 발생
◦4월 23일 장면박사 부통령직 사임
◦4월 24일 이기붕이 부통령 당선 및 모든 공직 사퇴를 발표
◦4월 25일 교수단 시위
◦4월 26일 이승만 하야

※ 4월 18일 고려대생 시위

◦학생회 간부들이 학교 안으로 숨어들어 평소 뜻을 같이 한 대의원들에게 낮 12시 50분 점심시간 사이렌을 신호로 학생들을 인촌 동상 앞으로 모이도록 연락
- 학교 당국은 이를 알아채고 사이렌을 울리지 못하게 했으나, 학생들은 3천 여 명이 집결
◦학생들은 신입생 환영회에 사용하려고 준비했던 ‘고대’라고 글씨가 새겨진 수건을 머리에 두르고 학교 측의 만류를 뿌리치고 선언문을 박수로 채택. 5개항의 구호를 낭독
◦오후 1시 30분 경 학생들은 스크럼을 짜고 태평로에 있던 국회의사당으로 진출
- 대광고교 앞과 안암동 로터리 입구에서 경찰의 제지를 받았고, 이 과정에서 90여 명이 연행됨
◦오후 2시 20분 경 학생들은 뿔뿔이 국회의사당 앞으로 집결하여 연좌시위를 벌이며 연행학생 석방과 대통령 또는 내무부 장관의 부정선거 해명을 요구
- 학생들은 4개 항의 대정부 건의문을 결의
◦오후 4시경 유진오 총장이 학생 해산을 종요했으나, 학생들은 거부
- 연행 학생들은 오후 6시 경 전원 석방
- 이 소식을 듣고 학생들은 유진오 총장과 이철승 의원의 설득을 받아들여 오후 6시 40분 경 자진해서 연좌시위를 해산하고, 경찰 백차와 보도 차량의 선도를 받으며 귀교
◦학생 행렬이 을지로 4가에 이르렀을 때, 경찰 백차는 종로 4가로 방향을 바꿈
- 오후 7시 20분 경 청계천 4가 천일백화점 앞에 행렬이 이르렀을 때 100여 명의 괴한들이 흉기로 무장한 채 시위대를 급습
- 학생 수 백 명이 부상을 당하고, 중상자 20여 명은 병원으로 이송

◦학교에 도착한 학생들은 유진오 총장의 “학생들의 목적이 하루 이틀에 달성되기는 어렵다. 연행된 학생들은 모두 석방되었다. 아무쪼록 집에 무사히 돌아가기를 바란다”는 격려와 위로의 말을 듣고 밤 8시 40분 경 해산
◦고려대 학생 행렬을 뒤따르던 중고교생 200여 명은 세종로에서 20분간 격렬한 시위를 벌이다 7시 45분경 강제 해산
- 국회의사당 앞에서 농성을 계속하던 40여 명의 학생들도 8시 10분경 강제 해산
(이상 김정남, 2004, 『4․19혁명』,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70-77)

현재 평가

◦한국에서 전개된 대표적인 민주화운동으로 위상 정립
◦1963년 9월 서울특별시 수유동에 4․19묘지가 조성되었고, 1995년 4월 에 「국립4․19민주묘지」를 재조성함

조사자 의견

◦고려대학교 홈페이지 캠퍼스 안내에 의하면, 4.18기념관의 교사자료실은 1905~1945까지의 보성전문학교 시절의 고대 역사를 따로 정리한 보성전문학교관과 1946년부터 현재까지를 정리한 고려대학교관을 분리하여 학교의 역사 유물들을 전시해 놓았다고 하고 있으나, 현재 그 자료실은 2005년 5월에 개관한 백주년기념 삼성관의 1층 백년사 자료실로 이동한 것으로 보임

사진자료
>
팝업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