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념시설 현황
총 22건의 4월혁명 기념시설 자료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주요 대상
- 전북에서의 4․19혁명 궐기
- 위치(주소)
- 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 1가 664-14 전북대학교 서문 옆
- 위도
- 35도 50분 39.86초
- 경도
- 126도 07분 37.26초
- 선정 이유
- 4․19혁명 현장
- 토지 소유주
- 전북대학교
- 주위 환경
- 전북대 인문한국 쌀․삶문명연구원, 학생생활연구소 앞, 전북대햄 해미야미(Hammy Yummy) 델리 옆
- 유관 시설
- ◦ 국립4․19민주묘지 등
- 건립일
- 2010년 11월 25일
- 형태(외형)
- 표지석
- 재질
- 석재
- 규모(크기)
- 표지석 100*(11~30)*70㎝, 기단 120*50*25㎝
- 건립 주체
- 제50주년 4.19혁명 기념사업회
- 관리(운영) 주체
- -
4․19혁명의 진원지
1960년 4월 4일 독재와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대학생 시위가 일어났고 4월 20일, 24일 대규모학생데모로 4․19혁명의 완성을 앞당겼다.
2010. 11. 25 설치
제 50주년 4․19혁명기념사업회
◦ 정권 연장을 위해 부정선거를 획책하고, 초법률적인 통치권을 행사한 이승만 정권
◦ 1960년 2월 28일 대구에서 학생들의 반 이승만․자유당 시위가 발생
◦ 1960년 3월 15일 정부통령 선거일에 마산에서 학생 및 시민들과 민주당이 주도한 시위 발생
◦ 1960년 4월 11일 마산시 중앙부두에서 김주열의 사체가 발견되면서 제2차 마산사건 발발
◦ 1960년 4월 15일 전주 민주당원 100여 명, 시위·행진.
◦ 1960년 4월 24일 전주 시민·학생 2,000여 명 시위. 서울신문사 지국과 자유당 지부 파괴.
◦ 1960년 4월 18일 고려대 학생들이 주도한 도심 시위 발생
◦ 1960년 4월 19일 서울대를 비롯해 서울지역 대학, 고등학교, 중학교 학생들과 시민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시위 발생
◦ 한국에서 전개된 대표적인 민주화운동으로 위상 정립
◦ 1963년 9월 서울특별시 수유동에 4․19묘지가 조성되었고, 1995년 4월에 「국립4․19민주묘지」를 재조성함
* 4․19혁명 50주년에 전국 주요 4․19혁명 사적지 8곳에 표지석 설치
◦ 11.17 대구 중구 동성로 중앙치안센터
◦ 11.25 대전 대전역과 목척교 사이
◦ 11.26 전북 전주시 전북대 서문 옆
◦ 12.01 충북 청주시 북문로대로 영동삼거리
◦ 12.03 부산 부산진구 서면 로터리
◦ 12.06 경남 창원시 마산의료원 앞
◦ 12.07 광주 금남공원 입구
◦ 12.10 서울 중구 태평로1가 전 국회의사당 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