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기념시설 현황

총 22건의 4월혁명 기념시설 자료가 구축되어 있습니다.
조대부고 4․19혁명기념탑 프린트 목록

주요 대상
조대부고 학생들의 4․19혁명 궐기
위치(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의재로 33번길(학동 671-1) 조선대학교 부속고등학교 정문안 왼쪽
위도
35도 08분 07.62초
경도
126도 55분 54.79초
선정 이유
모교
토지 소유주
조선대학교부속고등학교
주위 환경
-
유관 시설
-
건립일
2010년 04월 19일
형태(외형)
재질
석재
규모(크기)
500*500㎝의 화강암을 깐 바닥 기단 1 : 260*260*30㎝, 기단 2 : 200*200*61㎝, 기단 3 : 140*140*49㎝ 탑 : 하단 80*80㎝, 상단 60*60㎝, 높이 245㎝, 탑머리 높이 80㎝
건립 주체
4․19혁명 기념비 건립추진위원회, 조선대학교부속고등학교 총동창회
관리(운영) 주체
-
전면

四․一九革命記念塔

4․18 Memorail Hall

시대적 배경

◦ 정권 연장을 위해 부정선거를 획책하고, 초법률적인 통치권을 행사한 이승만 정권

사건적 배경

◦ 1960년 2월 28일 대구에서 학생들의 반 이승만․자유당 시위가 발생
◦ 1960년 3월 15일 정부통령 선거일에 마산에서 학생 및 시민들과 민주당이 주도한 시위 발생
◦ 1960년 4월 11일 마산시 중앙부두에서 김주열의 사체가 발견되면서 제2차 마산사건 발발
◦ 1960년 4월 18일 고려대 학생들이 주도한 도심 시위 발생
◦ 1960년 4월 19일 서울대를 비롯해 서울지역 대학, 고등학교, 중학교 학생들과 시민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시위 발생
- 동일 광주에서도 광주고, 광주여고, 광주공고, 조대부고, 숭일고, 광주농고, 광주상고 등이 참여한 거리 시위 전개. 17:00경 경찰 발포 시작
◦ 1960년 4월 20일 전남대 학생과 광주농고생이 참여한 시위
◦ 1960년 4월 21일 광주에서 발생한 시위에서 연행된 사람들을 석방하기 시작
◦ 1960년 4월 24일 자유당 산하 기관인 국민회 주관으로 ‘4․19희생자 합동 위령제’가 열리자, 학생 및 피해자들이 크게 반발함
◦ 1960년 4월 26일 전남도경 간부 일동 ‘경찰중립화’ 결의.

현재 평가

◦ 한국에서 전개된 대표적인 민주화운동으로 위상 정립
◦ 1963년 9월 서울특별시 수유동에 4․19묘지가 조성되었고, 1995년 4월에 「국립4․19민주묘지」를 재조성함

* 4․19혁명 50주년에 전국 주요 4․19혁명 사적지 8곳에 표지석 설치
◦ 11.17 대구 중구 동성로 중앙치안센터
◦ 11.25 대전 대전역과 목척교 사이
◦ 11.26 전북 전주시 전북대 서문 옆
◦ 12.01 충북 청주시 북문로대로 영동삼거리
◦ 12.03 부산 부산진구 서면 로터리
◦ 12.06 경남 창원시 마산의료원 앞
◦ 12.07 광주 금남공원 입구
◦ 12.10 서울 중구 태평로1가 전 국회의사당 앞

사진자료
>
팝업창 닫기